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홈 연구사업 연구자료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국제교육협력 시범사업 발굴 지원(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CR2007-73-02)

국제교육협력 시범사업 발굴 지원(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CR2007-73-02) 이미지
  • 출판유형 : 연구보고서
  • 보고서번호 : CR2007-73-02 (CR)
  • 연구책임자 :
  • 연구진 :
  • 페이지 : 204
  • ISBN :
  • ※ 본 보고서는 수탁연구과제의 결과물로서, 저작권이 본원에 있지 않아 원문 파일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문의 : Tel. 043-530-9244, E-mail. kedibook@kedi.re.kr
연구 요약
      <  목        차  >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8228 목적&\#8228 내용&\#8228 방법&\#8228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8228  1
                2. 연구 목적 및 활용계획&\#8228  1
                3. 연구 내용&\#8228  2
                4. 연구방법 및 분석 모형&\#8228  2
                5. 연구의 한계&\#8228 6
        제2절 국제교육협력 시범사업 대상 국가 선정&\#8228 7
                1. 국가 선정 방향&\#8228 7
                2. 국가 선정 근거 및 대상국가 선정&\#8228 8
        제3절 공적개발원조(ODA) 및 지원정책&\#8228 12
                1. 공적개발원조(ODA)의 정의&\#8228 12
                2. ODA의 국제적 분류 체계&\#8228 13
                3. 주요 원조 공여국가들의 교육 분야 지원 정책&\#8228 15
                4. 우리나라의 3개 국가에 대한 교육 분야 지원 실적&\#8228 18

  제2장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제1절 사회적 배경 및 특성&\#8228 24
                1. 일반현황&\#8228 24
                2. 경제적 배경 및 특징&\#8228 26
                3. 한국과의 관계&\#8228 28
        제2절 경제발전 현황 및 전망&\#8228 31
                1. 국가의 주요 발전 전략&\#8228 31
                2. 인력계획 분석과 시사점&\#8228 34
        제3절 국가의 교육시스템 및 주요 교육 이슈&\#8228 40
                1. 국가의 교육 시스템&\#8228 40
                2. 국가의 주요 교육 이슈&\#8228 43
        제4절 국가의 직업교육훈련과 고등교육의 변화&\#8228 44
                1. 현황 분석&\#8228 44
                2. 직업교육 훈련&\#8228 45
                3. 고등교육&\#8228 47
                4. 개선 필요 사항&\#8228 48
        제5절 국가의 VET 해외 수원 현황 분석&\#8228 49
                1. 외국의 VET 지원현황&\#8228 49
                2. 한국의 지원현황&\#8228 52
                3. 우리나라 지원의 특징과 시사점&\#8228 59
        제6절 한국의 대 국가 지원 전략&\#8228 60
                1. 각국지원 대비 지원 필요분야 검토&\#8228 60
                2. 대내 환경&\#8228 63
                3. 수요조사&\#8228 64
                4. 지원 목표와 원칙&\#8228 66
                5. 지원 과제 선정&\#8228 67
                6. 원조사업 발굴 세부내역&\#8228 68

  제3장 라오스
        제1절 사회적 배경 및 특성&\#8228 77
                1. 일반현황&\#8228 77
                2. 경제적 배경 및 특징&\#8228 79
                3. 한국과의 관계&\#8228 82
        제2절 경제발전 현황 및 전망&\#8228 83
                1. 국가의 주요 발전 전략&\#8228 83
                2. 인력계획 분석과 시사점&\#8228 85
        제3절 국가의 교육시스템 및 주요 교육이슈&\#8228 88
                1. 국가의 교육 시스템&\#8228 88
                2. 국가의 주요 교육이슈&\#8228 90
        제4절 국가의 직업교육훈련과 고등교육의 변화&\#8228 92
                1. 현황 분석&\#8228 92
                2. 직업 및 기술교육&\#8228 훈련&\#8228 93
                3. 고등교육&\#8228 94
                4. 정부의 정책추진 방향&\#8228 94
        제5절 국가의 VET 해외 수원 현황 분석&\#8228 96
                1. 외국의 VET 지원현황&\#8228 96
                2. 한국의 교육 분야 지원현황&\#8228 99
                3. 우리나라 지원의 특징과 시사점&\#8228 102
        제6절 한국의 대 국가 지원 전략&\#8228 103
                1. 우리나라의 대 국가 지원의 목표와 원칙&\#8228 103
                2. 환경 분석 및 수요조사 결과 요약&\#8228 104
                3. 원조사업 발굴 세부내역&\#8228 107

  제4장 캄보디아
        제1절 사회적 배경 및 특성&\#8228 117
                1. 일반 현황&\#8228 117
                2. 경제적 배경 및 특징&\#8228 120
                3. 한국과의 관계&\#8228 125

        제2절 경제발전 현황 및 전망&\#8228 128
                1. 국가의 주요 발전 전략&\#8228 128
                2. 인력계획 분석과 시사점&\#8228 135

        제3절 국가의 교육시스템 및 주요 교육 이슈&\#8228 137
                1. 국가의 교육시스템&\#8228 137
                2. 교육현황&\#8228 137
                3. 교육정책&\#8228 138
                4. 요약 및 시사점&\#8228 140

        제4절 캄보디아의 직업훈련의 변화&\#8228 141
                1. 현황 분석&\#8228 141
                2. 직업 및 기술 교육 훈련&\#8228 142

        제5절 캄보디아의 VET 해외 수원 분석&\#8228 149
                1. 외국의 VET 지원현황&\#8228 149
                2. 한국의 VET 지원현황&\#8228 151
                3. 우리나라 지원의 특성과 발전방안&\#8228 153

        제6절 한국의 대 국가 지원 전략&\#8228 154
                1. 우리나라의 대 국가 지원의 목표와 원칙&\#8228 154
                2. 환경분석 및 수요조사 결과요약&\#8228 156
                3. 원조사업 발굴 내역&\#8228 159

  제5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국가별 시범 사업 요약&\#8228 167
                1. 베트남&\#8228 167
                2. 라오스&\#8228 173
                3. 캄보디아&\#8228 178
        제2절 향후 지원 방안&\#8228 184

  부록&\#8228 193
  참고문헌&\#8228 203

  표목차
<표 Ⅰ-1> 환경 분석 내용&\#8228 4
<표 Ⅰ-2> OECD 수원국 DAC 리스트(2006년 기준)&\#8228 9
<표 Ⅰ-3> 지원요청 국가들의 수요 분야 및 네트워크&\#8228 10
<표 Ⅰ-4> ODA 분류 체계&\#8228 14
<표 Ⅰ-5> 주요원조 공여국의 아시아 지역 교육 분야 지원 실적&\#8228 15
<표 Ⅰ-6> 사업선정 3개국 교육 분야 프로젝트 지원 실적&\#8228 19

<표 Ⅱ-1> 베트남의 국내경제 주요지표&\#8228 26
<표 Ⅱ-2> 베트남의 국제경제 주요지표&\#8228 27
<표 Ⅱ-3> 한국의 대 베트남 연도별 교역현황&\#8228 28
<표 Ⅱ-4> 대 베트남 국별 외국인투자&\#8228 29
<표 Ⅱ-5> 한국 내 등록 베트남인&\#8228 30
<표 Ⅱ-6> 한국 입국 베트남인&\#8228 30
<표 Ⅱ-7> 베트남 출국 한국인&\#8228 30
<표 Ⅱ-8> 베트남의 지역별 실업률 추이&\#8228 34
<표 Ⅱ-9> 베트남의 산업별 고용 추이&\#8228 35
<표 Ⅱ-10> 도시지역 노동연령 중 비고용률&\#8228 36
<표 Ⅱ-11> 도농 간 인구 추이&\#8228 36
<표 Ⅱ-12> 베트남 근로자의 학력별 임금수준(2006년)&\#8228 37
<표 Ⅱ-13> 직무수준별 임금수준 비교&\#8228 37
<표 Ⅱ-14> 1995~2004년 과정별 증가율&\#8228 42
<표 Ⅱ-15> 졸업생 전망(2005~2015)&\#8228 43
<표 Ⅱ-16> 교육 부문 정부지출 구성비&\#8228 44
<표 Ⅱ-17> 정규교육과 회귀교육 지출 구성비&\#8228 45
<표 Ⅱ-18> 최근 5년간 연도별 승인 규모&\#8228 49
<표 Ⅱ-19> 최근 5년간 승인 비중&\#8228 50
<표 Ⅱ-20> 대 베트남 교육 분야 해외 원조&\#8228 50
<표 Ⅱ-21> 대 베트남 수은자금 금융지원 현황&\#8228 52
<표 Ⅱ-22> 대 베트남 경제협력기금지원 현황&\#8228 53
<표 Ⅱ-23> 베트남에서의 KOICA 주요 프로젝트(1991~2003)&\#8228 54
<표 Ⅱ-24> KOICA의 훈련 분야와 과정&\#8228 55

<표 Ⅲ-1> 라오스의 국내경제 주요지표&\#8228 80
<표 Ⅲ-2> 라오스의 국제경제 주요지표&\#8228 81
<표 Ⅲ-3> 한국의 대 라오스 무역 및 투자현황&\#8228 82
<표 Ⅲ-4> 라오스의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8228 85
<표 Ⅲ-5> 2005~2010년까지의 인력 추가수요 전망치&\#8228 87
<표 Ⅲ-6> 매년 인력 수급차 규모&\#8228 87
<표 Ⅲ-7> 교육단계별 등록률(1975~2010)&\#8228 90
<표 Ⅲ-8> 직업교육체제 혁신을 위한 6대 세부목표 및 추진전략&\#8228 95
<표 Ⅲ-9> 라오스의 부문별 해외수원 현황&\#8228 96
<표 Ⅲ-10> ODA 교육 분야 대 라오스 원조의 세부분야별 특징&\#8228 100

<표 Ⅳ-1> 캄보디아의 국내경제 주요 지표&\#8228 121
<표 Ⅳ-2> 고용인구의 직종별 종사자 비율&\#8228 122
<표 Ⅳ-3> 캄보디아의 국제경제 주요 지표&\#8228 123
<표 Ⅳ-4> 한국의 대 캄보디아 수출입 추이&\#8228 125
<표 Ⅳ-5> 주요 송출기관 현황&\#8228 126
<표 Ⅳ-6> 캄보디아의 대 한국 송출인력 현황&\#8228 127
<표 Ⅳ-7> 빈곤 지수&\#8228 131
<표 Ⅳ-8> 캄보디아 교육기관 등록인원 현황 및 추산&\#8228 138
<표 Ⅳ-9> 주요 직업훈련 기관현황&\#8228 142
<표 Ⅳ-10> 캄보디아의 TVET발전 방향&\#8228 148
<표 Ⅳ-11> 2006년 ODA 교육훈련 지원 분야별 지원규모&\#8228 149
<표 Ⅳ-12> VET ODA의 지역별 분포&\#8228 150
<표 Ⅳ-13> 주요 프로젝트의 규모 및 지원 국가와 기관&\#8228 151
<표 Ⅳ-14> 2005년 NPIC 설치학과 및 학생 수&\#8228 152

<표 Ⅴ-1> 베트남 원조 사업 발굴 내역&\#8228 173
<표 Ⅴ-2> 라오스 원조 사업 발굴 내역&\#8228 178
<표 Ⅴ-3> 캄보디아 원조 사업 발굴 내역&\#8228 184

  그림목차
[그림 Ⅰ-1] 분석모형&\#8228 2
[그림 Ⅰ-2] PhaseⅠ: 연구사업 사전조사&\#8228 3
[그림 Ⅰ-3] 환경 분석 주요 방법론&\#8228 4
[그림 Ⅰ-4] PhaseⅡ: 현장실사&\#8228 5
[그림 Ⅰ-5] PhaseⅢ: 시범사업 발굴&\#8228 6
[그림 Ⅰ-6] 중등교육 재학률 및 제조업 취업률&\#8228 9
[그림 Ⅰ-7] 시범사업 대상국가의 위치&\#8228 11

[그림 Ⅱ-1] 베트남의 제6차(2006~2010) 사회경제개발5개년계획&\#8228 33
[그림 Ⅱ-2] 베트남의 제6차(2006~2010) 교육개발 전략계획&\#8228 38
[그림 Ⅱ-3] 베트남의 교육제도&\#8228 40
[그림 Ⅱ-4] 과정별 학생현황(1995~2003)&\#8228 41
[그림 Ⅱ-5] 국가별-부문별 DAD(전체)&\#8228 60
[그림 Ⅱ-6] 국가별-부문별 DAD(종료 및 연장과제)&\#8228 61
[그림 Ⅱ-7] 국가별-부문별 DAD(진행, 연기, 승인 과제)&\#8228 62
[그림 Ⅱ-8] 우리나라의 대 베트남 HRD분야 지원 체계도&\#8228 68

[그림 Ⅲ-1] 라오스의 제6차(2006~2010) 사회경제개발5개년계획&\#8228 84
[그림 Ⅲ-2] 라오스의 산업구조&\#8228 86
[그림 Ⅲ-3] 라오스의 학제&\#8228 89
[그림 Ⅲ-4] 대 라오스 직업교육훈련분야 원조의 지원대상별&\#8228 지원분야별 현황&\#8228 99
[그림 Ⅲ-5] 2004~2006 대 라오스 교육 분야 경제원조의 분야별 특징&\#8228 101
[그림 Ⅲ-6] 우리나라의 대 라오스 HRD분야 ODA사업 발굴 개념도&\#8228 107

[그림 Ⅳ-1] 사변형 전략&\#8228 130
[그림 Ⅳ-2] 캄보디아의 인적자원개발 전략&\#8228 135
[그림 Ⅳ-3] 우리나라의 대 캄보디아 HRD분야 지원 체계도&\#8228 159

[그림 Ⅴ-1] 우리나라의 대 베트남 HRD분야 지원 체계도&\#8228 172
[그림 Ⅴ-2] 우리나라의 대 라오스 HRD분야 지원 체계도&\#8228 177
[그림 Ⅴ-3] 우리나라의 대 캄보디아 HRD분야 지원 체계도&\#8228 183
[그림 Ⅴ-4] 교육훈련 분야 대외원조 추진체계 구성(안)&\#8228 187

마이폴더 스크랩하기

스크랩을 하시려면 폴더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세요.
새폴더를 만들려면 "새폴더"를 클릭하세요.
myfolder icon

폴더 만들기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