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류방란)은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이에 따르면, 2021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은 55.4%(2020년 50.7%)로 이는 전년에 비해 4.7%p 증가한 수치이다. 교육부는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상황 분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공공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취업통계조사 체계를 개편하고, 2020년 11월 첫 조사 결과를 발표한 후, 올해 3월에는 ‘2020년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유지취업률(취업 약 6개월 후 취업자 자격 유지 비율)’도 발표한 바 있다.
■ 이슈페이퍼
미래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유형별 주요 의제 분석
2.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돌봄 지원 체제 확립
● 연구진 : 이희현, 권택환
사회적 돌봄과 초등 돌봄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강조되고 있으나 그간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동 중심 돌봄 체계 구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 및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 이에 향후 아동의 총체적인 삶을 지원하기 위한 돌봄체계 구축 실현을 위해 사회적으로 협의해야 할 과제와 방식이 무엇인지 제안하고자 함.
■ 교육개발 2021년 가을호(통권 220호)
특별기획
고교-대학 연계 플랫폼으로서의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
임태형(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로서 청소년 진로교육을 위한 AR/VR 콘텐츠 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연구기관이다. 근래 폭발적인 관심을 받는 메타버스에 대해 연구소는 2020년 하반기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본래 연구소가 진행하던 연구의 아젠다에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으로서의 메타버스가 포함이 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연구소가 운영한 고교-대학 연계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 진로교육을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고교-대학 연계 방안에 대해 필자의 의견을 공유하고자 한다.
미래세대와 메타버스
김창환(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2021년 메타버스가 한국 사회의 뜨거운 이슈로 부상한 가운데 우리는 하나의 사실에 놀랐다. 메타버스의 주 사용자가 아동과 청소년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코로나19 이전부터 메타버스에서 살고 있었던 것이다. 어른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세계인데, 미래세대는 이미 메타버스에 익숙해 있고, 메타버스 생활을 즐기고 있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메타버스가 미래세대에게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 한국교육 제48권 제3호
문·이과 계열 및 성별 간 수학성취도 성장궤적 비교
● 저자 : 차인숙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교수)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문?이과 융합형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해 문과 계열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 향상을 돕기 위한 정보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자료를 사용하여 선형의 일차함수와 비선형의 이차함수, 분수함수, 시그모이드 성장 함수를 적용하여 문?이과 계열 학생들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수학성취도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 교육정책포럼 341호
교육시론
미래형 고교교육 혁신, 의미와 전망
● 필자 : 김성기(협성대학교 교수)
'고등학교 체제 개편'은 세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첫째는 '고등학교'의 체제를 개편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나 중학교, 대학교와 다른 고등학교의 체제를 개편하는 것이다. 초중등교육법 제45조(목적)에서 "고등학교는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다. 즉 고등학교 교육은 보통교육과 고등교육의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방과후학교·돌봄 온라인 Newsletter 2021 NO.76
2021 미래교육지구 도봉구 방과후학교 지역연계 특화지구사업 “3355 도봉교육상회”
● 필자 : 최혜영(서울 도봉구청 혁신교육지원 센터장)
도봉구는 2015년부터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 운영을 통해 민관학 교육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학교-마을 연계형 방과후학교를 중점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올해로 6년째를 맞이하는 도봉형 마을방과후학교는 100개의 마을학교와 500명의 마을교사와 함께 하고 있다.
■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동향 카카오톡 채널
교육정책네트워크에서는 국내외 최신 교육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도록 ‘카카오톡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월 3회 카카오톡을 통해 해외교육동향,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정책 동향, 교육관계기관 연구브리프, 교육정책포럼 및 관계기관의 주요 일정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 카카오톡 앱 실행 2) 카카오톡 상단 검색창 터치 3) 검색창에 “교육정책네트워크” 입력 4) 채널명을 터치하여 친구 추가
■ 고교학점제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고교학점제연구센터에서는 최신 고교학점제 정책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도록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해 고교학점제 카드뉴스, 웹툰, 팟캐스트, 유튜브 콘텐츠, 공모전, 이벤트 등 새로운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 카카오톡 앱 실행 2) 카카오톡 상단 검색창 터치 3) 검색창에 “고교학점제” 입력 4) 플러스 친구를 터치하여 친구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