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홈 알림마당 보도자료/칼럼 보도자료/칼럼

보도자료/칼럼

[보도] 2023 학교환경 교육국제컨퍼런스 개최 

  • 게시자 : 관리자 
  • 자료분류 : 공지사항
  • 등록일 : 2023-02-13 
  • 조회 : 3938 

 

더 나은 삶과 교육을 향한 학교 환경교육주제로

2023 학교 환경교육 국제 컨퍼런스 개최

- 215() 오전 10, 대전컨벤션센터, 유튜브(KEDI TV) 생중계 -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이 주최하고, 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 류방란)이 주관하는 <2023 학교 환경교육 국제컨퍼런스>215() 오전 10시부터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더 나은 삶과 교육을 향한 학교 환경교육을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최근에 전 세계 각지에서 기후위기 이상 징후들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 창출을 위해 학교 환경교육의 가치와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에, 국내·외 학교 환경교육 분야의 연구자 및 실천가, 학교구성원(학생, 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3개의 세션으로 구분된 프로그램 속에서 국내외 학교 환경교육의 주요 현황 및 발전과제, 학교 환경교육 실천사례, 그리고 미래 세대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의 탄소중립 실천 프로젝트 등에 대한 발표와 공유, 열린 토론이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은현 단계 학교 환경교육의 도약을 위한 의제라는 주제에 대해 이선경 교수(청주교육대학교), 앨런 리드 교수(호주 모나쉬대학교), 에시 아르니오 린나부오리 교수(핀란드 템퍼레대학교)가 각 국가별 학교 환경교육의 현황과 발전과제에 대해 발표하고 청중들과 온·오프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두 번째 세션은학교 환경교육 실천, 미래 교육의 새 길을 열어가다라는 주제로 3개의 트랙으로 구분되어 진행되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다각적인 실천 사례의 공유를 통해 학교 환경교육의 중요성과 실천적 가치를 재발견한다.

- [트랙 1] 미래세대의 기후 위기 극복 프로젝트에서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청년들이 직접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자신들의 실천적 행동과 성과에 대해 발표한다.

- [트랙 2] ‘환경시민 양성을 위한 단위학교 실천과 과제에서 김남수 박사(국토환경연구원 부원장)와 알렉스 쿠드랴프체프 박사(코넬대학교)가 단위학교 환경교육의 활성화·내실화 논의에 필요한 사례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발표에 이어 김찬국 교수(한국교원대학교)가 좌장으로서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 [트랙 3] 탄소중립 실천학교 운영 성과 탐방은 갤러리 워크 방식으로 진행된다. ‘21’22년 사이 탄소중립 중점학교 사업에 참여한 바 있는 김해율하유치원, 옥서초등학교, 산자연중학교, 보문고등학교, 함현고등학교의 담당 교사들이 부스에 방문한 청중들에게 소속 학교의 실천 사례를 발표하고 공유한다. 또한, 별도로 마련된 실천사례 전시 공간에서 환경교육 실천 우수사례 등 교육용 참고자료들이 참여자들에게 무상으로 제공된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미래의 교육과 세대를 위한 우리 모두의 다짐이라는 주제로 문화예술공연(유니크첼로 콰르텟, 재활용악기 연주회)으로 시작된다. 이어서 장동선 박사(궁금한 뇌 연구소 소장)의 진행 하에 미래 세대와 교사들이 토크 콘서트를 진행한다. 권희진(빛가온유치원 교사), 이성원(서산중앙고등학교 교사), 송초원(순천별량중학교 학생), 장지헌(빅웨이브 이사), 조선우(설화고등학교 학생)나와 공동체를 이어준 환경교육 실천의 의미에 대해 좌담을 나눌 것이다. 끝으로, 2[트랙 1]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교육 실천에 필요한 정책제안서를 정부정책 관계자들에게 직접 전달하고, 행사 참여자들이 다함께 기후위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에 대해 함께 다짐하면서 행사가 마무리 될 예정이다.

 

본 국제컨퍼런스는 현재 시점에서 30년 안에 기온은 1.5도를 낮추지 않으면 미래 교육을 위한 미래 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는 과학계의 예측에 귀 기울이며, 미래 교육의 주체이자 대상인 청소년의 목소리, 그리고 학교현장의 능동적 실천 사례들을 공론화의 장으로 초대하였다. 지속가능한 미래의 교육과 세대를 위한 사회적 논의와 실천을 진전시키는 데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기에, 이번 행사에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가 있기를 기대한다.

 

붙임2023 학교 환경교육 국제컨퍼런스 초청장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