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홈 연구자료 조사자료 조사자료 목록

조사자료 목록

조사자료 선택 조사자료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 연구영역 : 초·중등교육
  • 연구자 :
  • 연구년도 : 2013.01.01 - 2030.12.31
조사 개요

○ 「한국교육종단연구」는 교육에 관한 종단적 자료를 구축하여 교육정책의 수립 및 집행과 성과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연구
○ 이 연구의 첫 번째 패널인 「한국교육종단연구2005」가 조사 2단계에 이르러 2년 주기로 조사를 시행함에 따라 해당 연구의 초·중등교육에 대한 정보 유용성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비교 가능한 새로운 초등학교 종단연구를 구축하기 위해 두 번째 패널인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연구를 수행
○ 2013년에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던 학생들의 표본을 추출하여 2030년까지 초·중등교육 기간과 고등교육 기간 및 직업생활 기간으로 나누어 추적조사를 시행하며 그 세부적인 조사 단계는 아래와 같음.

- 제1단계
조사 대상: 초등학교 5학년에서 고등학교 졸업 시점까지
조사 연도: 2013~2020년(8년 간 매년 조사 실시)
주요 내용: 인지적·비인지적 성취와 발달, 가정의 교육적 지원, 초·중등학교 교육 수준, 학교생활 및 교우 관계, 중·고등학교 진학 과정, 교육정책 효과 분석 등

- 제2단계
조사 대상: 고등학교 졸업 시점에서 만 28세까지
조사 연도: 2021~2030년(10년 간 매년 조사 실시*)
· 최초 조사 설계 시에는 고교 졸업 후 2년까지는 1년마다 조사를 실시하고, 그 이후부터 2년에 한번 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으나, 2023년에 매년 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정함
주요 내용: 인지적·비인지적 성취, 대학진학 및 대학 생활, 중등교육 이후 교육 경험과 수준, 진로 및 초기 직업 획득, 향후 직업 포부, 사회이동, 삶의 수준 등

조사 목적

○ 학생들의 교육경험과 결과에 대한 종단적 자료 수집
○ 학교여건, 교육활동, 조직풍토에 대한 실태 자료 수집
○ 교육정책 효과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 교육을 통한 계층이동, 인적자원의 육성 등 교육의 사회적 결과에 대한 자료 수집

조사 대상

○ 1~2차년도: 표본 학생, 표본 학생의 학부모, 표본 학생의 담임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 표본 학생의 소속 학교
○ 3~8차년도: 표본 학생, 표본 학생의 학부모, 표본 학생의 소속 학교

표본 추출 방법

○ 시·도, 도시 규모를 고려한 층화군집무선추출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적용
○ 도시 규모(특별시,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에 따라 4개의 층(stratum)으로 분류하여 비례층화무선추출법을 사용하여 학교단위로 표집
○ 각 층으로부터 표본 대상 학생 무선추출

표본 크기

1차년도 기준 242개교 7,324명의 패널로 시작됨.

조사 기간

조사년도의 10월∼11월 중 본조사 시행

조사 방법

표집학교별로 연구협력교사를 위촉하여 학교 자체적으로 조사 실시



문의

  • 담당자 : 최유리 전문원(교육조사·지표연구실)
  • 전화 : 043-530-9603
  • 이메일 : kels@ke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