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보고서
지역혁신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평생학습도시 매뉴얼(RM2005-06)
연구 요약
차 례
I. 평생학습도시 추진체제 구축
1. 평생학습도시의 이해 3
가. 평생학습도시란 무엇인가? 4
나. 평생학습도시 사업 추진배경 8
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필요성 11
라. 평생학습도시 사례 14
2. 평생학습도시 계획하기 19
가. 지역환경 분석 20
나. 학습도시 추진체제 조직 23
다. 학습도시 사업 추진의 기본관점 25
라. 학습도시 사업의 비전과 목표 설정 28
3. 학습도시 체제 만들기 39
가. 법적 기반 만들기 40
나. 지원체제와 조직 구성하기 43
다. 학습도시 추진체제 만들기: 평생학습센터 45
라. 평생교육 인력 전문화 48
마. 평생교육 예산확보 운영 51
4.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 체제 만들기 53
가. 네트워크형 평생학습도시 구상 54
나. 네트워크의 핵심: 협의회 57
다. 평생학습 지역 네트워크 만들기 60
II.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실제
5. 평생학습도시 사업 추진계획 수립 71
가. 학습도시 사업 추진계획 수립 72
나. 학습도시 사업 추진전략과 사업 영역 설정 77
다. 학습도시 사업 영역별 세부과제 설정 82
6.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87
가. 평생교육 프로그램이란? 88
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93
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95
라.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111
마. 평생교육 프로그램 홍보와 마케팅 114
7. 평생학습 상담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운영 123
가. 학습상담과 상담실 운영 124
나. 사이버 학습도시 구축 127
8. 지역사회 지도력 육성 131
가. 평생교육 관련기관 단체장의 전문성 강화 132
나. 평생교육 관련기관 실무자의 전문성 강화 134
다. 평생교육 강사의 자질 함양과 지도력 육성 136
라. 학습동아리 육성을 위한 지원사업 138
9. 지역 만들기와 시민참여 145
가. 생활권에 따른 학습권역 설정 146
나. 시민지도자 육성과 자원활동 인증제 149
다. 시민참여 활성화 153
10. 학습문화 조성하기 155
가. 학습문화 조성이란? 156
나. 평생학습 세미나 개최 158
다. 평생학습 축제 개최 162
라. 평생학습의 날 제정과 운영 170
마. 평생학습 상징을 통한 학습문화 조성 172
바. 홍보를 통한 학습문화 확산 173
참고문헌 175
부록 - 학습도시 해외 사례 (영국, 독일, 일본) 179
표차례
<표 1-1> 평생학습도시 선정현황 14
<표 2-1> 평생교육자원 조사목록 21
<표 2-2>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 영역과 내용 22
<표 2-3> 주민의식조사 설문지 문항 구성 22
<표 3-1> 자치단체별 조례비교 41
<표 3-2> 평생학습센터의 기능과 사업내용 47
<표 4-1> 평생교육협의회의 유형과 목적 57
<표 4-2> 학습네트워크 교환 가능한 교육자원(예시) 63
<표 4-3> 자원목록 프로파일 형식 예시 67
<표 5-1> 평생학습도시 계획의 종류 73
<표 5-2> 평생학습도시 사업계획 10개년 계획의 예시 76
<표 6-1>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목적 90
<표 6-2> 교육요구 발현주체의 유형 104
<표 6-3> 교육요구 발현의 목적 104
<표 6-4> 목표중심 프로그램 내용 선정 양식 110
<표 10-1> 평생학습축제의 주관, 주최, 후원 164
<표 10-2> 각 주체별 담당역할 예 165
<표 10-3> 축제 참여 주체 166
I. 평생학습도시 추진체제 구축
1. 평생학습도시의 이해 3
가. 평생학습도시란 무엇인가? 4
나. 평생학습도시 사업 추진배경 8
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필요성 11
라. 평생학습도시 사례 14
2. 평생학습도시 계획하기 19
가. 지역환경 분석 20
나. 학습도시 추진체제 조직 23
다. 학습도시 사업 추진의 기본관점 25
라. 학습도시 사업의 비전과 목표 설정 28
3. 학습도시 체제 만들기 39
가. 법적 기반 만들기 40
나. 지원체제와 조직 구성하기 43
다. 학습도시 추진체제 만들기: 평생학습센터 45
라. 평생교육 인력 전문화 48
마. 평생교육 예산확보 운영 51
4.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 체제 만들기 53
가. 네트워크형 평생학습도시 구상 54
나. 네트워크의 핵심: 협의회 57
다. 평생학습 지역 네트워크 만들기 60
II.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실제
5. 평생학습도시 사업 추진계획 수립 71
가. 학습도시 사업 추진계획 수립 72
나. 학습도시 사업 추진전략과 사업 영역 설정 77
다. 학습도시 사업 영역별 세부과제 설정 82
6.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87
가. 평생교육 프로그램이란? 88
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93
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95
라.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111
마. 평생교육 프로그램 홍보와 마케팅 114
7. 평생학습 상담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운영 123
가. 학습상담과 상담실 운영 124
나. 사이버 학습도시 구축 127
8. 지역사회 지도력 육성 131
가. 평생교육 관련기관 단체장의 전문성 강화 132
나. 평생교육 관련기관 실무자의 전문성 강화 134
다. 평생교육 강사의 자질 함양과 지도력 육성 136
라. 학습동아리 육성을 위한 지원사업 138
9. 지역 만들기와 시민참여 145
가. 생활권에 따른 학습권역 설정 146
나. 시민지도자 육성과 자원활동 인증제 149
다. 시민참여 활성화 153
10. 학습문화 조성하기 155
가. 학습문화 조성이란? 156
나. 평생학습 세미나 개최 158
다. 평생학습 축제 개최 162
라. 평생학습의 날 제정과 운영 170
마. 평생학습 상징을 통한 학습문화 조성 172
바. 홍보를 통한 학습문화 확산 173
참고문헌 175
부록 - 학습도시 해외 사례 (영국, 독일, 일본) 179
표차례
<표 1-1> 평생학습도시 선정현황 14
<표 2-1> 평생교육자원 조사목록 21
<표 2-2>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 영역과 내용 22
<표 2-3> 주민의식조사 설문지 문항 구성 22
<표 3-1> 자치단체별 조례비교 41
<표 3-2> 평생학습센터의 기능과 사업내용 47
<표 4-1> 평생교육협의회의 유형과 목적 57
<표 4-2> 학습네트워크 교환 가능한 교육자원(예시) 63
<표 4-3> 자원목록 프로파일 형식 예시 67
<표 5-1> 평생학습도시 계획의 종류 73
<표 5-2> 평생학습도시 사업계획 10개년 계획의 예시 76
<표 6-1>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목적 90
<표 6-2> 교육요구 발현주체의 유형 104
<표 6-3> 교육요구 발현의 목적 104
<표 6-4> 목표중심 프로그램 내용 선정 양식 110
<표 10-1> 평생학습축제의 주관, 주최, 후원 164
<표 10-2> 각 주체별 담당역할 예 165
<표 10-3> 축제 참여 주체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