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보고서
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현상에 관한 연구(RR98-19)
연구 요약
        <  차        례  >
  머 리 말
  연 구 요 약
  제 Ⅰ 부 연구의 개요 | 1
        제 1 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 2 장 연구문제 및 연구내용 | 4
            1. 연구문제 | 4
            2. 연구내용 | 5
        제 3 장 선행연구 및 외국사례 분석 | 6
            1. 선행연구 | 6
            2. 외국 사례 분석 1 : 일본 | 15
            3. 외국 사례 분석 2 : 호주 | 31
        제 4 장 연구방법 | 39
            1. 질적 연구 : 참여 관찰 및 서술형 질문지 분석 | 39
            2. 질문지 조사 연구 | 44
  제 Ⅱ 부 왕따의 역동적 과정 | 53
        제 1 장 개요 | 53
            1. 관찰학교의 특성 | 53
            2. 왕따의 개념화 | 55
            3. 또래집단 문화 | 63
        제 2 장 : 이반석의 경우 : 자폐학생 | 86
            1. 관찰 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86
            2. 관찰 및 면담시기 | 87
            3. 왕따가 된 시기 | 87
            4. 왕따시키는 방법 | 88
            5. 왕따의 특징 | 91
        제 3 장 이소라의 경우 : 위축적 고립 학생 | 99
            1. 관찰 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99
            2. 관찰 및 면담시기 | 101
            3. 왕따가 된 시기 | 101
            4. 왕따시키는 방법 | 104
            5. 왕따 주동자의 특성 | 108
            6. 왕따의 반응 | 117
        제 4 장 강수연의 경우 | 123
            1. 관찰 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123
            2. 관찰 및 면담시기 | 125
            3. 왕따의 시작 시기와 원인 | 125
            4. 왕따시키는 방법 | 130
            5. 왕따의 반응 | 137
            6. 왕따 주변인의 반응 | 141
        제 5 장 국동석의 경우 : 왜소한 학생 | 144
            1. 관찰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144
            2. 관찰기간 | 145
            3. 왕따의 시작시기 및 원인 | 145
            4. 왕따시키는 방법 | 146
            5. 왕따 주변인의 반응 | 148
        제 6 장 강수연의 자리 바꿈사건 | 148
            1. 제보자의 선정 및 사건요약 | 149
            2. 강수연과 어머니 | 152
            3. 자리바꿈사건 : 왕따사건 | 154
            4. 담임선생님의 화냄 | 167
            5. 왕따를 도와주는 아이 : 은혜 | 172
            6. 7시에 온 밟는다는 전화 | 177
            7. 너도 잘못한 것 있지 않니? 사과해라. | 180
            8. 관심을 가장한 날라리들의 놀림 | 183
            9. 시비는 줄었어도 왕따는 면하지 못한다. | 184
            10. 맺는말 | 190
        제 7 장 왕따의 원인 및 심리과정 | 191
            1. 정체감 형성과 관련된 문제 | 191
            2. 자기와 다른 것(異質의 것)에 대한 반응 | 194
            3. 괴롭힘이 암묵적으로 행하여진다는 것에 관 한 문제 | 197
            4. 튀는 행동이 왕따가 되는 문제 | 200
            5. 괴롭힘을 당하면서도 떠나지 않는 심리 | 202
  제 Ⅲ 부 왕따의 실태 | 204
        제 1 장 왕따 피해학생 실태 | 204
            1. 학교 배경에 의한 차이 | 206
            2. 가정 배경에 의한 차이 | 209
        제 2 장 학교폭력 피해학생 실태 | 210
        제 3 장 학생들이 본 왕따현상 | 214
            1. 왕따가 있는 학급수 실태 | 214
            2. 학생이 왕따를 본 적이 있는 정도 | 215
            3. 학생들이 생각하는 왕따 피해의 원인 | 216
            4. 학생들이 생각하는 왕따 가해의 원인 | 218
            5. 왕따시키는 방법 | 219
            6. 자신이 왕따임을 지각하는 정도 | 221
            7. 왕따가 된 후의 태도 | 222
            8. 왕따 당하는 시기 | 223
            9. 왕따의 빈도 | 225
            10. 왕따를 주도하는 학생 | 225
            11. 왕따를 벗어나는 방법 | 227
            12. 자신이 왕따가 되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생각 | 229
            13. 왕따가 될까봐 두려워서 못한 일 | 230
            14. 왕따를 당하는 아이를 보았을 때 하는 행동 | 234
            15. 왕따 당한 경우 의논 상대 | 235
            16. 왕따에 대한 선생님의 태도 | 237
        제 4 장 교사의 태도 | 239
            1. 교사의 왕따 인지도 | 239
            2. 교사가 자신의 근무학교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0
            3. 교사가 담임학급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2
            4. 교사가 왕따를 발견하게 된 단서 | 243
            5. 교사가 예상하는 왕따 생활지도의 어려움 | 245
            6.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왕따 해결 방법 | 247
        제 5 장 학부모의 태도 | 249
            1. 학부모가 왕따를 들어본 경험 여부 | 250
            2. 자녀가 왕따 피해자 또는 가해자로서 말하는 것을 들어본 경험 여부 | 252
            3. 자녀가 왕따 피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4
            4. 자녀가 왕따 가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6
            5. 학부모가 생각하는 왕따 대처 방법 | 259
            6. 학부모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왕따 해결 방법 | 262
  제 Ⅳ 부 요약 및 제언 | 266
        제 1 장 요약 및 논의 | 266
            1. 연구의 개요 | 266
            2. 연구결과 및 논의 | 268
        제 2 장 제언 : 왕따의 지도대책 | 275
            1. 왕따에 대한 인식 개선 | 276
            2. 왕따를 낳는 구조의 검토 | 277
            3. 왕따 발생시의 긴급 대응 방법 | 277
            4. 자살에 대한 대책 | 278
            5. 왕따 예방 대책 | 279
  참 고 문 헌 | 280
  부 록 | 291
        <부록 Ⅰ> 통계처리 결과 | 292
        <부록 Ⅱ> 질문지 3종 | 343
  표 차 례
<표Ⅰ-3-1> 1996년도 이지메 유형별 발생현황 | 18
<표Ⅰ-3-2> 이지메 문제의 대응방법 | 19
<표Ⅰ-3-3> 괴롭힘의 형태 | 32
<표Ⅰ-3-4> 괴롭힘을 가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 33
<표Ⅰ-3-5>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형태 | 35
<표Ⅰ-3-6>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빈도 | 35
<표Ⅰ-3-7>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빈도의 연령별 차이 | 36
<표Ⅰ-3-8> 남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형태의 연령별 차이 | 37
<표Ⅰ-3-9> 여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형태의 연령별 차이 | 37
<표Ⅰ-3-10>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주체의 학교급별 차이 | 38
<표Ⅰ-3-11> 괴롭힘을 당했을 때 이야기할 지 여부 | 39
<표Ⅰ-4-1> 조사대상별 조사대상 수 및 회수율 | 44
<표Ⅰ-4-2> 전국 지역별 초&\#8228 중&\#8228 고 학생수(모집단) | 47
<표Ⅰ-4-3> 지역별ㆍ설립별 초ㆍ중ㆍ고 표집학교수 | 48
<표Ⅰ-4-4> 학생 표본의 구성(총학생수 6,893명) | 49
<표Ⅰ-4-5> 교사표본의 구성(총 교사수 573명) | 50
<표Ⅰ-4-6> 학부모 표본의 구성(총 학부모 수 5,485명) | 51
<표Ⅱ-1-1> 관찰 학급 학생의 부친의 학력 | 54
<표Ⅱ-1-2> 4월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 68
<표Ⅱ-1-3> 5월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변화 | 77
<표Ⅱ-1-4> 6월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변화 | 77
<표Ⅱ-1-5> 9월 초 이후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변화 | 78
<표Ⅱ-1-6> 사건에 따른 또래집단 변화의 특징 | 81
<표Ⅱ-1-7> B반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형성과 변화의 과정 | 82
<표Ⅱ-2-1> 이반석의 지능검사 결과 | 97
<표Ⅲ-1-1> 왕따 또는 따돌림과 관련된 학교 폭력 피해 학생 실태 | 207
<표Ⅲ-1-2> 폭력유형별 왕따 피해정도 | 210
<표Ⅲ-2-1> 학교폭력 피해 학생 실태 | 211
<표Ⅲ-2-2> 폭력 유형별 학교폭력 피해정도 | 213
<표Ⅲ-3-1> 왕따가 있는 학급수 | 214
<표Ⅲ-3-2> 왕따를 본 적이 있는 정도 | 215
<표Ⅲ-3-3> 학생들이 지적하는 왕따피해의 원인 | 217
<표Ⅲ-3-4> 학생들이 생각하는 왕따 가해의 원인 | 218
<표Ⅲ-3-5> 왕따시키는 방법 | 220
<표Ⅲ-3-6> 자신이 왕따임을 지각하는 정도 | 221
<표Ⅲ-3-7> 왕따가 된 후의 태도 | 223
<표Ⅲ-3-8> 왕따가 일어나는 시간 | 224
<표Ⅲ-3-9> 왕따의 빈도 | 225
<표Ⅲ-3-10> 왕따를 주도하는 학생 존재여부 | 226
<표Ⅲ-3-11> 왕따 주도학생의 유형 | 227
<표Ⅲ-3-12> 왕따를 벗어나는 방법 | 228
<표Ⅲ-3-13> 자신이 왕따가 되었다고 가정했을때의 생각 | 229
<표Ⅲ-3-14> 왕따가 될까봐 두려워서 못한 일과 하기싫은 일을 한 정도 | 231
<표Ⅲ-3-15> 왕따가 될까봐 하고싶은 일을 못한 일의 유형 | 232
<표Ⅲ-3-16> 왕따가 될까봐 하기 싫은데 한일의 유형 | 233
<표Ⅲ-3-17> 왕따를 당하는 아이를 보았을 때 하는 행동 | 235
<표Ⅲ-3-18> 왕따 당한 경우 의논 상대 | 236
<표Ⅲ-3-19> 학생들이 본 담임교사의 왕따 인지도 | 237
<표Ⅲ-3-20> 학생들이 본 교사의 왕따 현상 조치행동 | 238
<표Ⅲ-4-1> 교사의 왕따를 들어본 경험 여부 | 240
<표Ⅲ-4-2> 자신의 근무학교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1
<표Ⅲ-4-3> 교사가 담임 학급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3
<표Ⅲ-4-4> 교사가 왕따를 발견하게 된 단서 | 244
<표Ⅲ-4-5> 교사가 예상하는 왕따 생활지도의 어려움 | 246
<표Ⅲ-4-6>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왕따 해결방법 | 248
<표Ⅲ-5-1> 학부모가 왕따를 들어본 경험여부 | 251
<표Ⅲ-5-2> 자녀가 왕따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 입장에서 말하는 것을 들어 본 경험 여부 | 253
<표Ⅲ-5-3> 자녀가 왕따 피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5
<표Ⅲ-5-4> 자녀가 왕따 가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8
<표Ⅲ-5-5> 학부모가 생각하는 왕따 대처방법 | 261
<표Ⅲ-5-6> 학부모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왕따 해결방법 | 263
  그 림 차 례
[그림Ⅰ-3-1] 이지메 발생건수의 연도별 비교 | 16
[그림Ⅰ-3-2] 이지메 발생 학교수의 연도별 비교 | 16
[그림Ⅰ-3-3] 학년별 이지메 발생 건수(1996년) | 17
[그림Ⅱ-2-1] 이반석의 KEDI-WISC 프로파일 | 98
  머 리 말
  연 구 요 약
  제 Ⅰ 부 연구의 개요 | 1
        제 1 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 2 장 연구문제 및 연구내용 | 4
            1. 연구문제 | 4
            2. 연구내용 | 5
        제 3 장 선행연구 및 외국사례 분석 | 6
            1. 선행연구 | 6
            2. 외국 사례 분석 1 : 일본 | 15
            3. 외국 사례 분석 2 : 호주 | 31
        제 4 장 연구방법 | 39
            1. 질적 연구 : 참여 관찰 및 서술형 질문지 분석 | 39
            2. 질문지 조사 연구 | 44
  제 Ⅱ 부 왕따의 역동적 과정 | 53
        제 1 장 개요 | 53
            1. 관찰학교의 특성 | 53
            2. 왕따의 개념화 | 55
            3. 또래집단 문화 | 63
        제 2 장 : 이반석의 경우 : 자폐학생 | 86
            1. 관찰 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86
            2. 관찰 및 면담시기 | 87
            3. 왕따가 된 시기 | 87
            4. 왕따시키는 방법 | 88
            5. 왕따의 특징 | 91
        제 3 장 이소라의 경우 : 위축적 고립 학생 | 99
            1. 관찰 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99
            2. 관찰 및 면담시기 | 101
            3. 왕따가 된 시기 | 101
            4. 왕따시키는 방법 | 104
            5. 왕따 주동자의 특성 | 108
            6. 왕따의 반응 | 117
        제 4 장 강수연의 경우 | 123
            1. 관찰 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123
            2. 관찰 및 면담시기 | 125
            3. 왕따의 시작 시기와 원인 | 125
            4. 왕따시키는 방법 | 130
            5. 왕따의 반응 | 137
            6. 왕따 주변인의 반응 | 141
        제 5 장 국동석의 경우 : 왜소한 학생 | 144
            1. 관찰대상자의 전반적 인상 | 144
            2. 관찰기간 | 145
            3. 왕따의 시작시기 및 원인 | 145
            4. 왕따시키는 방법 | 146
            5. 왕따 주변인의 반응 | 148
        제 6 장 강수연의 자리 바꿈사건 | 148
            1. 제보자의 선정 및 사건요약 | 149
            2. 강수연과 어머니 | 152
            3. 자리바꿈사건 : 왕따사건 | 154
            4. 담임선생님의 화냄 | 167
            5. 왕따를 도와주는 아이 : 은혜 | 172
            6. 7시에 온 밟는다는 전화 | 177
            7. 너도 잘못한 것 있지 않니? 사과해라. | 180
            8. 관심을 가장한 날라리들의 놀림 | 183
            9. 시비는 줄었어도 왕따는 면하지 못한다. | 184
            10. 맺는말 | 190
        제 7 장 왕따의 원인 및 심리과정 | 191
            1. 정체감 형성과 관련된 문제 | 191
            2. 자기와 다른 것(異質의 것)에 대한 반응 | 194
            3. 괴롭힘이 암묵적으로 행하여진다는 것에 관 한 문제 | 197
            4. 튀는 행동이 왕따가 되는 문제 | 200
            5. 괴롭힘을 당하면서도 떠나지 않는 심리 | 202
  제 Ⅲ 부 왕따의 실태 | 204
        제 1 장 왕따 피해학생 실태 | 204
            1. 학교 배경에 의한 차이 | 206
            2. 가정 배경에 의한 차이 | 209
        제 2 장 학교폭력 피해학생 실태 | 210
        제 3 장 학생들이 본 왕따현상 | 214
            1. 왕따가 있는 학급수 실태 | 214
            2. 학생이 왕따를 본 적이 있는 정도 | 215
            3. 학생들이 생각하는 왕따 피해의 원인 | 216
            4. 학생들이 생각하는 왕따 가해의 원인 | 218
            5. 왕따시키는 방법 | 219
            6. 자신이 왕따임을 지각하는 정도 | 221
            7. 왕따가 된 후의 태도 | 222
            8. 왕따 당하는 시기 | 223
            9. 왕따의 빈도 | 225
            10. 왕따를 주도하는 학생 | 225
            11. 왕따를 벗어나는 방법 | 227
            12. 자신이 왕따가 되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생각 | 229
            13. 왕따가 될까봐 두려워서 못한 일 | 230
            14. 왕따를 당하는 아이를 보았을 때 하는 행동 | 234
            15. 왕따 당한 경우 의논 상대 | 235
            16. 왕따에 대한 선생님의 태도 | 237
        제 4 장 교사의 태도 | 239
            1. 교사의 왕따 인지도 | 239
            2. 교사가 자신의 근무학교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0
            3. 교사가 담임학급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2
            4. 교사가 왕따를 발견하게 된 단서 | 243
            5. 교사가 예상하는 왕따 생활지도의 어려움 | 245
            6.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왕따 해결 방법 | 247
        제 5 장 학부모의 태도 | 249
            1. 학부모가 왕따를 들어본 경험 여부 | 250
            2. 자녀가 왕따 피해자 또는 가해자로서 말하는 것을 들어본 경험 여부 | 252
            3. 자녀가 왕따 피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4
            4. 자녀가 왕따 가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6
            5. 학부모가 생각하는 왕따 대처 방법 | 259
            6. 학부모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왕따 해결 방법 | 262
  제 Ⅳ 부 요약 및 제언 | 266
        제 1 장 요약 및 논의 | 266
            1. 연구의 개요 | 266
            2. 연구결과 및 논의 | 268
        제 2 장 제언 : 왕따의 지도대책 | 275
            1. 왕따에 대한 인식 개선 | 276
            2. 왕따를 낳는 구조의 검토 | 277
            3. 왕따 발생시의 긴급 대응 방법 | 277
            4. 자살에 대한 대책 | 278
            5. 왕따 예방 대책 | 279
  참 고 문 헌 | 280
  부 록 | 291
        <부록 Ⅰ> 통계처리 결과 | 292
        <부록 Ⅱ> 질문지 3종 | 343
  표 차 례
<표Ⅰ-3-1> 1996년도 이지메 유형별 발생현황 | 18
<표Ⅰ-3-2> 이지메 문제의 대응방법 | 19
<표Ⅰ-3-3> 괴롭힘의 형태 | 32
<표Ⅰ-3-4> 괴롭힘을 가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 33
<표Ⅰ-3-5>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형태 | 35
<표Ⅰ-3-6>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빈도 | 35
<표Ⅰ-3-7>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빈도의 연령별 차이 | 36
<표Ⅰ-3-8> 남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형태의 연령별 차이 | 37
<표Ⅰ-3-9> 여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형태의 연령별 차이 | 37
<표Ⅰ-3-10> 학생들이 경험한 괴롭힘의 주체의 학교급별 차이 | 38
<표Ⅰ-3-11> 괴롭힘을 당했을 때 이야기할 지 여부 | 39
<표Ⅰ-4-1> 조사대상별 조사대상 수 및 회수율 | 44
<표Ⅰ-4-2> 전국 지역별 초&\#8228 중&\#8228 고 학생수(모집단) | 47
<표Ⅰ-4-3> 지역별ㆍ설립별 초ㆍ중ㆍ고 표집학교수 | 48
<표Ⅰ-4-4> 학생 표본의 구성(총학생수 6,893명) | 49
<표Ⅰ-4-5> 교사표본의 구성(총 교사수 573명) | 50
<표Ⅰ-4-6> 학부모 표본의 구성(총 학부모 수 5,485명) | 51
<표Ⅱ-1-1> 관찰 학급 학생의 부친의 학력 | 54
<표Ⅱ-1-2> 4월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 68
<표Ⅱ-1-3> 5월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변화 | 77
<표Ⅱ-1-4> 6월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변화 | 77
<표Ⅱ-1-5> 9월 초 이후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변화 | 78
<표Ⅱ-1-6> 사건에 따른 또래집단 변화의 특징 | 81
<표Ⅱ-1-7> B반 여학생들의 또래집단 형성과 변화의 과정 | 82
<표Ⅱ-2-1> 이반석의 지능검사 결과 | 97
<표Ⅲ-1-1> 왕따 또는 따돌림과 관련된 학교 폭력 피해 학생 실태 | 207
<표Ⅲ-1-2> 폭력유형별 왕따 피해정도 | 210
<표Ⅲ-2-1> 학교폭력 피해 학생 실태 | 211
<표Ⅲ-2-2> 폭력 유형별 학교폭력 피해정도 | 213
<표Ⅲ-3-1> 왕따가 있는 학급수 | 214
<표Ⅲ-3-2> 왕따를 본 적이 있는 정도 | 215
<표Ⅲ-3-3> 학생들이 지적하는 왕따피해의 원인 | 217
<표Ⅲ-3-4> 학생들이 생각하는 왕따 가해의 원인 | 218
<표Ⅲ-3-5> 왕따시키는 방법 | 220
<표Ⅲ-3-6> 자신이 왕따임을 지각하는 정도 | 221
<표Ⅲ-3-7> 왕따가 된 후의 태도 | 223
<표Ⅲ-3-8> 왕따가 일어나는 시간 | 224
<표Ⅲ-3-9> 왕따의 빈도 | 225
<표Ⅲ-3-10> 왕따를 주도하는 학생 존재여부 | 226
<표Ⅲ-3-11> 왕따 주도학생의 유형 | 227
<표Ⅲ-3-12> 왕따를 벗어나는 방법 | 228
<표Ⅲ-3-13> 자신이 왕따가 되었다고 가정했을때의 생각 | 229
<표Ⅲ-3-14> 왕따가 될까봐 두려워서 못한 일과 하기싫은 일을 한 정도 | 231
<표Ⅲ-3-15> 왕따가 될까봐 하고싶은 일을 못한 일의 유형 | 232
<표Ⅲ-3-16> 왕따가 될까봐 하기 싫은데 한일의 유형 | 233
<표Ⅲ-3-17> 왕따를 당하는 아이를 보았을 때 하는 행동 | 235
<표Ⅲ-3-18> 왕따 당한 경우 의논 상대 | 236
<표Ⅲ-3-19> 학생들이 본 담임교사의 왕따 인지도 | 237
<표Ⅲ-3-20> 학생들이 본 교사의 왕따 현상 조치행동 | 238
<표Ⅲ-4-1> 교사의 왕따를 들어본 경험 여부 | 240
<표Ⅲ-4-2> 자신의 근무학교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1
<표Ⅲ-4-3> 교사가 담임 학급에 왕따가 있다고 보는 정도 | 243
<표Ⅲ-4-4> 교사가 왕따를 발견하게 된 단서 | 244
<표Ⅲ-4-5> 교사가 예상하는 왕따 생활지도의 어려움 | 246
<표Ⅲ-4-6>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왕따 해결방법 | 248
<표Ⅲ-5-1> 학부모가 왕따를 들어본 경험여부 | 251
<표Ⅲ-5-2> 자녀가 왕따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 입장에서 말하는 것을 들어 본 경험 여부 | 253
<표Ⅲ-5-3> 자녀가 왕따 피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5
<표Ⅲ-5-4> 자녀가 왕따 가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정도 | 258
<표Ⅲ-5-5> 학부모가 생각하는 왕따 대처방법 | 261
<표Ⅲ-5-6> 학부모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왕따 해결방법 | 263
  그 림 차 례
[그림Ⅰ-3-1] 이지메 발생건수의 연도별 비교 | 16
[그림Ⅰ-3-2] 이지메 발생 학교수의 연도별 비교 | 16
[그림Ⅰ-3-3] 학년별 이지메 발생 건수(1996년) | 17
[그림Ⅱ-2-1] 이반석의 KEDI-WISC 프로파일 |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