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홈 연구사업 연구자료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교육안전망 구축을 위한 해운대구 지역 사례 연구(CR2007-18)

교육안전망 구축을 위한 해운대구 지역 사례 연구(CR2007-18) 이미지
  • 출판유형 : 연구보고서
  • 보고서번호 : CR2007-18 (CR)
  • 연구책임자 :
  • 연구진 :
  • 페이지 : 242
  • ISBN : 978-89-6113-063-9 93370
원문 링크
연구 요약
           <차 례>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가. 연구의 필요성 | 3
    나. 연구의 목적 | 6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6
    가. 연구의 내용 | 7
    나. 연구의 방법 | 7

Ⅱ. 교육안전망 구축을 위한 지역의 특성 분석 | 11
  1. 지역의 현황 및 특성 | 13
    가. 부산광역시 및 해운대구 개요 | 13
    나. 인구 | 15
    다. 사회경제적 환경 | 23
    라. 재정 특성 | 29
  2. 교육 인프라 | 36
    가. 영유아 | 36
    나. 학령기 대상 | 39

Ⅲ. 지역 교육취약집단의 실태 | 55
  1. 저소득층 현황 | 57
    가. 저소득층 분포 특성 | 57
    나.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사업 | 60
  2. 아동 및 청소년 현황 | 60
    가. 아동 및 청소년 | 60
    나. 학습장애 아동 및 청소년 | 63
    다.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복지사업 | 73

Ⅳ. 지역 취약계층 교육지원 현황 | 85
  1. 학교교육 인프라 | 87
    가. 저소득층 교육지원 | 87
    나. 낙후지역 교육지원 | 89
    다. 소외계층 교육지원 | 96
    라. 지역사회 연계 교육지원 | 98
  2. 평생교육 인프라 | 101
    가. 해운대구 평생학습센터 교육지원 | 101
    나. 성인 문해교육프로그램 지원 | 102
    다. 주민생활지원서비스 기관 | 103
  3. 복지 인프라 | 105
    가. 복지행정 지원 | 105
    나. 복지시설의 교육지원 | 113
  4. 고용ㆍ노동 인프라 | 115
    가. 해운대구 자활사업 | 116
    나. 고용 및 취업 교육 | 119
  5. 보육 인프라 | 121

Ⅴ. 교육복지투자사업에 대한 실태조사 | 125
  1. 조사방법 및 설문구성 | 127
    가. 조사방법 | 127
    나. 설문구성 | 127
  2. 교육복지투자대상 지역과 비대상 지역 비교 | 128
    가. 저소득층 지원사업 수혜 현황 및 필요성 | 128
    나. 학습관련 지원사업의 효과 | 133
    다. 학교도서관 및 지역 시설 이용 현황 | 139
    라.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요구 | 143
    마.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사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144
  3. 개인 특성별 교육복지투자사업 효과 분석 | 145
    가. 성별·학교급별 학원 유무 | 145
    나. 성별·학교급별 학교 및 일상생활 적응 태도 | 146
    다. 성별·학교급별 사회적 지원 인식 | 148
    라. 성별·학교급별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희망사항 | 150
    마. 성별ㆍ학교급별 교육복지투자사업에 대한 인식 | 151
  4. 결과 요약 | 153

Ⅵ. 지역 교육복지사업 진단과 분석 | 156
  1. 대상 집단 중심의 진단 | 158
    가. 취약집단 발굴 체제 | 158
    나. 지원의 적절성 및 효과성 | 167
  2. 사업간의 연계 진단과 분석 | 176
    가. 지원사업 및 기관간의 연계 | 177
    나. 사업주체의 체계성 | 183
    다. 전문가 조직과 위상 | 189
  3. 사업의 동력 진단 및 분석 | 193
    가. 외적 동력 | 195
    나. 지역 내적 동력 | 200

Ⅶ. 지역 교육안전망 구축 방안 | 209
  1. 지역 교육안전망의 개념과 목표 | 211
    가. 지역 교육안전망의 개념 | 211
    나. 지역 교육안전망의 목표 | 213
  2. 지역 교육안전망 구축의 기본방향 | 215
    가. 중앙부처간의 교육지원 사업의 조율 | 215
    나. 일반행정과 교육행정의 실무적 연계 및 통합 | 216
    다. 지역 교육인프라 확충 및 연계망 구축 | 218
    라. 학교ㆍ지역사회·가정의 연계 강화 | 218
    마. 연계 집단간의 쌍방향적이고 대등한 관계 구축 | 220
    바. 주관기관의 설정과 연계망을 위한 허브기능 강화 | 221
  3. 지역 교육안전망의 모델과 과제 | 222
    가. 지역 교육안전망의 모델 | 222
    나. 지역 교육안전망의 과제 | 225

참고문헌 | 233
부록 | 237


마이폴더 스크랩하기

스크랩을 하시려면 폴더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세요.
새폴더를 만들려면 "새폴더"를 클릭하세요.
myfolder icon

폴더 만들기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