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연구자료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영형 혁신학교 모형개발 연구
연구 요약
      <   차        례  >
Ⅰ. 연구의 개요   |  1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 목적   |  6
      3. 연구 내용   |  6
      4. 연구 방법   |  8
      5. 연구 개념   |  16
Ⅱ. 우리나라 학교자율화의 성과와 한계  |  21
      1. 법적 기반   |  23
      2. 자율화 정책   |  30
      3. 자율화 실태   |  34
      4. 성과 및 한계   |  57
      5. 정책적 시사점   |  60
Ⅲ. 차터스쿨의 협약구조  |  65
      1. 배경 및 이론적 가정   |  67
      2. 현황   |  73
      3. 자율성과 책무성 구조  |  77
      4. 성과 및 한계   |  105
      5. 정책적 시사점   |  108
Ⅳ. 교부금지원학교의 도입과 변화과정  |  123
      1. 성격 및 전환과정   |  125
      2. 통치 및 경영구조   |  131
      3. 변화과정  |  142
      4. 성과 및 한계   |  157
      5. 정책적 시사점   |  161
Ⅴ. 아카데미학교의 특성화 전략  |  171
      1. 목적 및 성격   |  173
      2. 통치구조   |  174
      3. 경영구조   |  175
      4. 성과 및 한계  |  188
      5. 정책적 시사점   |  189
Ⅵ. 공영형 혁신학교에 대한 기대 및 요구   |  191
      1. 통치구조   |  194
      2. 경영구조   |  202
      3. 일반적 인식   |  221
      4. 정책적 시사점   |  258
Ⅶ. 공영형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프레임  |  263
      1. 통치구조  |  266
      2. 경영구조   |  286
      3. 인식프레임 분석   |  325
      4. 정책적 시사점   |  339
Ⅷ. 공영형 혁신학교의 적용가능성   |  343
      1. 도입 목적  |  345
      2. 법적구조  |  354
      3. 협약구조   |  364
      4. 통치구조   |  375
      5. 경영구조   |  393
Ⅸ. 공영형 혁신학교 모형  |  411
      1. 모형 개요   |  413
      2. 협약 지침   |  419
      3. 경영 지침   |  433
Ⅹ. 요약 및 제언  |  453
      1. 요약  |  455
      2. 제언   |  466
참고문헌   |  475
표차례
< 표 Ⅰ-1> 조사 대상 및 회수 현황  |  11
< 표 Ⅰ-2> 하위 영역별 문항 구성  |  11
< 표 Ⅰ-3> 면담 대상   |  14
< 표 Ⅰ-4> 면담질문 내용   |  14
< 표 Ⅱ-1> 자율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현황   |  33
< 표 Ⅱ-2> 특수목적고 현황   |  35
< 표 Ⅱ-3> 실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  |  38
< 표 Ⅱ-4> 자율학교 현황(’05)  |  42
< 표 Ⅱ-5> 자율학교의 특성   |  47
< 표 Ⅱ-6> 자율학교의 법적 자율성과 실제 자율성  |  48
< 표 Ⅱ-7>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현황  |  49
< 표 Ⅱ-8> 일반 사립고등학교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비교   |  54
< 표 Ⅱ-9> 자율학교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비교  |  54
< 표 Ⅱ-10> 고등학교 평준화 보완제도 비교  |  58
< 표 Ⅲ-1> 연도별 차터스쿨 개교 학교 수   |  75
< 표 Ⅲ-2> 주별 차터스쿨 인가학교수 및 운영학교수(2005)  |  76
< 표 Ⅲ-3> 차터스쿨 ‘운영’ 관련 법령 비교  |  79
< 표 Ⅲ-4> 차터스쿨 ‘인사’ 관련 법령 비교   |  86
< 표 Ⅲ-5> 차터스쿨 ‘재정’ 관련 법령 비교   |  89
< 표 Ⅲ-6> 차터스쿨 ‘학생’ 관련 주별 법령 비교  |  92
< 표 Ⅲ-7> 승인 결정 및 신청 거부 이유 순위 비교   |  96
< 표 Ⅲ-8> 차터스쿨 ‘신청 및 승인’ 관련 법령 비교   |  98
< 표 Ⅳ-1>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과 권한(영국 교육개혁법,1988)  |  134
< 표 Ⅳ-2> 학교운영위원회와 교장의 역할 관계   |  136
< 표 Ⅳ-3> GM school의 인사관리  |  137
< 표 Ⅳ-4> GM school의 주요 변화   |  146
< 표 Ⅳ-5> 연도별 GM school 수의 변화   |  147
< 표 Ⅳ-6> 집권화와 분권화의 절충  |  151
< 표 Ⅳ-7> GM school 도입과정에서 LEA와 학교의 관계  |  155
< 표 Ⅵ-1> 설문내용   |  193
< 표 Ⅵ-2> 설립 주체   |  194
< 표 Ⅵ-3> 설립 방식   |  195
< 표 Ⅵ-4> 운영 주체   |  196
< 표 Ⅵ-5> 도입 학교급  |  198
< 표 Ⅵ-6> 정책 및 규정의 규제 완화 정도   |  199
< 표 Ⅵ-7> 학교운영위원회 참여인사   |  201
< 표 Ⅵ-8>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   |  203
< 표 Ⅵ-9> 교과서 선택의 자율성   |  204
< 표 Ⅵ-10> 교장자격증 소지 여부   |  205
< 표 Ⅵ-11> 교장 임용 방법   |  206
< 표 Ⅵ-12> 교사자격증 소지 여부  |  207
< 표 Ⅵ-13> 교사 채용 방법   |  208
< 표 Ⅵ-14> 교사 인센티브 부여 방법  |  209
< 표 Ⅵ-15> 학생 선발 범위   |  210
< 표 Ⅵ-16> 학생 선발 방법   |  211
< 표 Ⅵ-17> 재정 지원 정도   |  213
< 표 Ⅵ-18> 학생 납입금 수준  |  213
< 표 Ⅵ-19> 학교 시설 수준   |  215
< 표 Ⅵ-20> 학급당 학생수   |  216
< 표 Ⅵ-21> 책무성 평가 방식  |  217
< 표 Ⅵ-22> 책무성 평가 내용   |  218
< 표 Ⅵ-23> 재정 운영의 책무성 평가 방법   |  219
< 표 Ⅵ-24> 공영형 자율학교 도입 필요성  |  221
< 표 Ⅵ-25> 명확한 교육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운영   |  223
< 표 Ⅵ-26> 학교헌장에 따른 교육   |  223
< 표 Ⅵ-27> 우수한 시설을 갖춘 교육환경   |  225
< 표 Ⅵ-28>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 강화   |  226
< 표 Ⅵ-29> 일반계 고등학교 유형 다양화   |  227
< 표 Ⅵ-30>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확대  |  229
< 표 Ⅵ-31> 교육프로그램 구성시 학부모 요구 반영  |  229
< 표 Ⅵ-32>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 확대  |  231
< 표 Ⅵ-33> 학교의 학생 선발 전형 방법의 자율성 확보)  |  232
< 표 Ⅵ-34> 학부모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3
< 표 Ⅵ-35> 학생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4
< 표 Ⅵ-36> 교사들의 교육활동 만족도 제고   |  236
< 표 Ⅵ-37> 교사들의 신분보장 위협  |  236
< 표 Ⅵ-38> 초임 교사의 적합성  |  238
< 표 Ⅵ-39> 경력 교사의 적합성  |  239
< 표 Ⅵ-40> 학교 운영의 효율성 저하  |  240
< 표 Ⅵ-41> 전문적 기관에 의한 평가   |  241
< 표 Ⅵ-42> 지방교육 발전 및 지역별 균형발전 유도   |  242
< 표 Ⅵ-43> 고교평준화 정책의 문제점 보완   |  244
< 표 Ⅵ-44> 학부모의 납입금 부담 증가   |  244
< 표 Ⅵ-45> 사교육 흡수   |  246
< 표 Ⅵ-46> 튼튼한 재정을 바탕으로 운영   |  247
< 표 Ⅵ-47> 도입에 가장 큰 저해요인  |  248
< 표 Ⅵ-48> 운영시 예상되는 문제점 여부   |  251
< 표 Ⅵ-49>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   |  253
< 표 Ⅵ-50> 공영형 자율학교에 자녀 취학 의향  |  255
< 표 Ⅵ-51> 공영형 자율학교 운영에 참여 의향   |  256
< 표 Ⅵ-52> 공영형 자율학교 근무 의향   |  257
< 표 Ⅵ-53> 공영형 자율학교 관련 업무 담당 의향   |  258
< 표 Ⅶ-1> 면담질문의 영역 별 하위변인   |  266
< 표 Ⅶ-2> 공영형 자율학교에 대한 인식 프레임   |  337
< 표 Ⅷ-1> 설립주체별 특징 비교   |  384
< 표 Ⅷ-2> 공영형 혁신학교 통치유형별 특징  |  391
< 표 Ⅷ-3> 학교경영 구조의 자율성과 책무성 영역과 내용  |  394
< 표 Ⅷ-4> 공무원형과 비공무원형 비교  |  400
< 표 Ⅸ-1> 학교형태별 비교   |  418
< 표 Ⅸ-2> 협약 지침 개요   |  419
< 표 Ⅸ-3> 공영형 혁신학교 협약 절차   |  421
< 표 Ⅸ-4> 학교위원회의 주요 역할 및 기능   |  435
< 표 Ⅸ-5> 운영주체별 통치기구 비교  |  438
< 표 Ⅸ-6> 학교운영 주체별 인사관리 비교  |  441
< 표 Ⅸ-7>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이수단위 선택 예시  |  449
< 표 Ⅹ-1> 공영형 혁신학교 협약 절차  |  463
그림차례
[그림 Ⅰ-1] 연구 절차  |  9
[그림 Ⅰ-2] 교육통치구조 개념모형  |  16
[그림 Ⅳ-1] 학교운영위원회 관련 법규  |  71
[그림 Ⅳ-2] GM school 변화과정 및 경로의존성의 영향 변수   |  118
[그림 V-1] Academy의 통치구조 모형  |  132
[그림 Ⅵ-1] 설립 주체   |  156
[그림 Ⅵ-2] 설립 방식   |  175
[그림 Ⅵ-3] 운영 주체   |  195
[그림 Ⅵ-4] 도입 학교급   |  195
[그림 Ⅵ-5] 정책 및 규정의 규제 완화 정도   |  196
[그림 Ⅵ-6] 학교운영위원회 참여인사   |  198
[그림 Ⅵ-7]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  |  199
[그림 Ⅵ-8] 교과서 선택의 자율성  |  202
[그림 Ⅵ-9] 교장자격증 소지 여부  |  203
[그림 Ⅵ-10] 교장 임용 방법   |  204
[그림 Ⅵ-11] 교사자격증 소지 여부   |  205
[그림 Ⅵ-12] 교사 채용 방법   |  206
[그림 Ⅵ-13] 교사 인센티브 부여 방법   |  207
[그림 Ⅵ-14] 학생 선발 범위   |  208
[그림 Ⅵ-15] 학생 선발 방법   |  209
[그림 Ⅵ-16] 재정 지원 정도   |  211
[그림 Ⅵ-17] 학생 납입금 수준   |  211
[그림 Ⅵ-18] 학교 시설 수준  |  213
[그림 Ⅵ-19] 학급당 학생수   |  214
[그림 Ⅵ-20] 책무성 평가 방식  |  215
[그림 Ⅵ-21] 책무성 평가 내용   |  216
[그림 Ⅵ-22] 재정 운영의 책무성 평가 방법   |  218
[그림 Ⅵ-23] 공영형 자율학교 도입 필요성   |  219
[그림 Ⅵ-24] 명확한 교육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운영  |  220
[그림 Ⅵ-25] 학교헌장에 따른 교육   |  221
[그림 Ⅵ-26] 우수한 시설을 갖춘 교육환경   |  223
[그림 Ⅵ-27]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 강화   |  224
[그림 Ⅵ-28] 일반계 고등학교 유형 다양화   |  225
[그림 Ⅵ-29]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확대   |  226
[그림 Ⅵ-30] 교육프로그램 구성시 학부모 요구 반영  |  228
[그림 Ⅵ-31]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 확대   |  229
[그림 Ⅵ-32] 학교의 학생 선발 전형 방법의 자율성 확보  |  230
[그림 Ⅵ-33] 학부모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1
[그림 Ⅵ-34] 학생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2
[그림 Ⅵ-35] 교사들의 교육활동 만족도 제고   |  234
[그림 Ⅵ-36] 교사들의 신분보장 위협   |  234
[그림 Ⅵ-37] 초임 교사의 적합성  |  236
[그림 Ⅵ-38] 경력 교사의 적합성   |  237
[그림 Ⅵ-39] 학교 운영의 효율성 저하   |  238
[그림 Ⅵ-40] 전문적 기관에 의한 평가   |  239
[그림 Ⅵ-41] 지방교육 발전 및 지역별 균형발전 유도  |  240
[그림 Ⅵ-42] 고교평준화 정책의 문제점 보완   |  242
[그림 Ⅵ-43] 학부모의 납입금 부담 증가  |  242
[그림 Ⅵ-44] 사교육 흡수  |  244
[그림 Ⅵ-45] 튼튼한 재정을 바탕으로 운영   |  245
[그림 Ⅵ-46] 도입에 가장 큰 저해요인   |  246
[그림 Ⅵ-47] 운영시 예상되는 문제점 여부   |  247
[그림 Ⅵ-48]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   |  249
[그림 Ⅵ-49] 공영형 자율학교에 자녀 취학 의향  |  252
[그림 Ⅵ-50] 공영형 자율학교 운영에 참여 의향  |  254
[그림 Ⅵ-51] 공영형 자율학교 근무 의향   |  255
[그림 Ⅵ-52] 공영형 자율학교 관련 업무 담당 의향   |  256
[그림 Ⅸ-1] 공영형 혁신학교 협약 절차  |  257
Ⅰ. 연구의 개요   |  1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 목적   |  6
      3. 연구 내용   |  6
      4. 연구 방법   |  8
      5. 연구 개념   |  16
Ⅱ. 우리나라 학교자율화의 성과와 한계  |  21
      1. 법적 기반   |  23
      2. 자율화 정책   |  30
      3. 자율화 실태   |  34
      4. 성과 및 한계   |  57
      5. 정책적 시사점   |  60
Ⅲ. 차터스쿨의 협약구조  |  65
      1. 배경 및 이론적 가정   |  67
      2. 현황   |  73
      3. 자율성과 책무성 구조  |  77
      4. 성과 및 한계   |  105
      5. 정책적 시사점   |  108
Ⅳ. 교부금지원학교의 도입과 변화과정  |  123
      1. 성격 및 전환과정   |  125
      2. 통치 및 경영구조   |  131
      3. 변화과정  |  142
      4. 성과 및 한계   |  157
      5. 정책적 시사점   |  161
Ⅴ. 아카데미학교의 특성화 전략  |  171
      1. 목적 및 성격   |  173
      2. 통치구조   |  174
      3. 경영구조   |  175
      4. 성과 및 한계  |  188
      5. 정책적 시사점   |  189
Ⅵ. 공영형 혁신학교에 대한 기대 및 요구   |  191
      1. 통치구조   |  194
      2. 경영구조   |  202
      3. 일반적 인식   |  221
      4. 정책적 시사점   |  258
Ⅶ. 공영형 혁신학교에 대한 인식프레임  |  263
      1. 통치구조  |  266
      2. 경영구조   |  286
      3. 인식프레임 분석   |  325
      4. 정책적 시사점   |  339
Ⅷ. 공영형 혁신학교의 적용가능성   |  343
      1. 도입 목적  |  345
      2. 법적구조  |  354
      3. 협약구조   |  364
      4. 통치구조   |  375
      5. 경영구조   |  393
Ⅸ. 공영형 혁신학교 모형  |  411
      1. 모형 개요   |  413
      2. 협약 지침   |  419
      3. 경영 지침   |  433
Ⅹ. 요약 및 제언  |  453
      1. 요약  |  455
      2. 제언   |  466
참고문헌   |  475
표차례
< 표 Ⅰ-1> 조사 대상 및 회수 현황  |  11
< 표 Ⅰ-2> 하위 영역별 문항 구성  |  11
< 표 Ⅰ-3> 면담 대상   |  14
< 표 Ⅰ-4> 면담질문 내용   |  14
< 표 Ⅱ-1> 자율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현황   |  33
< 표 Ⅱ-2> 특수목적고 현황   |  35
< 표 Ⅱ-3> 실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  |  38
< 표 Ⅱ-4> 자율학교 현황(’05)  |  42
< 표 Ⅱ-5> 자율학교의 특성   |  47
< 표 Ⅱ-6> 자율학교의 법적 자율성과 실제 자율성  |  48
< 표 Ⅱ-7>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현황  |  49
< 표 Ⅱ-8> 일반 사립고등학교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비교   |  54
< 표 Ⅱ-9> 자율학교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비교  |  54
< 표 Ⅱ-10> 고등학교 평준화 보완제도 비교  |  58
< 표 Ⅲ-1> 연도별 차터스쿨 개교 학교 수   |  75
< 표 Ⅲ-2> 주별 차터스쿨 인가학교수 및 운영학교수(2005)  |  76
< 표 Ⅲ-3> 차터스쿨 ‘운영’ 관련 법령 비교  |  79
< 표 Ⅲ-4> 차터스쿨 ‘인사’ 관련 법령 비교   |  86
< 표 Ⅲ-5> 차터스쿨 ‘재정’ 관련 법령 비교   |  89
< 표 Ⅲ-6> 차터스쿨 ‘학생’ 관련 주별 법령 비교  |  92
< 표 Ⅲ-7> 승인 결정 및 신청 거부 이유 순위 비교   |  96
< 표 Ⅲ-8> 차터스쿨 ‘신청 및 승인’ 관련 법령 비교   |  98
< 표 Ⅳ-1>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과 권한(영국 교육개혁법,1988)  |  134
< 표 Ⅳ-2> 학교운영위원회와 교장의 역할 관계   |  136
< 표 Ⅳ-3> GM school의 인사관리  |  137
< 표 Ⅳ-4> GM school의 주요 변화   |  146
< 표 Ⅳ-5> 연도별 GM school 수의 변화   |  147
< 표 Ⅳ-6> 집권화와 분권화의 절충  |  151
< 표 Ⅳ-7> GM school 도입과정에서 LEA와 학교의 관계  |  155
< 표 Ⅵ-1> 설문내용   |  193
< 표 Ⅵ-2> 설립 주체   |  194
< 표 Ⅵ-3> 설립 방식   |  195
< 표 Ⅵ-4> 운영 주체   |  196
< 표 Ⅵ-5> 도입 학교급  |  198
< 표 Ⅵ-6> 정책 및 규정의 규제 완화 정도   |  199
< 표 Ⅵ-7> 학교운영위원회 참여인사   |  201
< 표 Ⅵ-8>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   |  203
< 표 Ⅵ-9> 교과서 선택의 자율성   |  204
< 표 Ⅵ-10> 교장자격증 소지 여부   |  205
< 표 Ⅵ-11> 교장 임용 방법   |  206
< 표 Ⅵ-12> 교사자격증 소지 여부  |  207
< 표 Ⅵ-13> 교사 채용 방법   |  208
< 표 Ⅵ-14> 교사 인센티브 부여 방법  |  209
< 표 Ⅵ-15> 학생 선발 범위   |  210
< 표 Ⅵ-16> 학생 선발 방법   |  211
< 표 Ⅵ-17> 재정 지원 정도   |  213
< 표 Ⅵ-18> 학생 납입금 수준  |  213
< 표 Ⅵ-19> 학교 시설 수준   |  215
< 표 Ⅵ-20> 학급당 학생수   |  216
< 표 Ⅵ-21> 책무성 평가 방식  |  217
< 표 Ⅵ-22> 책무성 평가 내용   |  218
< 표 Ⅵ-23> 재정 운영의 책무성 평가 방법   |  219
< 표 Ⅵ-24> 공영형 자율학교 도입 필요성  |  221
< 표 Ⅵ-25> 명확한 교육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운영   |  223
< 표 Ⅵ-26> 학교헌장에 따른 교육   |  223
< 표 Ⅵ-27> 우수한 시설을 갖춘 교육환경   |  225
< 표 Ⅵ-28>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 강화   |  226
< 표 Ⅵ-29> 일반계 고등학교 유형 다양화   |  227
< 표 Ⅵ-30>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확대  |  229
< 표 Ⅵ-31> 교육프로그램 구성시 학부모 요구 반영  |  229
< 표 Ⅵ-32>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 확대  |  231
< 표 Ⅵ-33> 학교의 학생 선발 전형 방법의 자율성 확보)  |  232
< 표 Ⅵ-34> 학부모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3
< 표 Ⅵ-35> 학생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4
< 표 Ⅵ-36> 교사들의 교육활동 만족도 제고   |  236
< 표 Ⅵ-37> 교사들의 신분보장 위협  |  236
< 표 Ⅵ-38> 초임 교사의 적합성  |  238
< 표 Ⅵ-39> 경력 교사의 적합성  |  239
< 표 Ⅵ-40> 학교 운영의 효율성 저하  |  240
< 표 Ⅵ-41> 전문적 기관에 의한 평가   |  241
< 표 Ⅵ-42> 지방교육 발전 및 지역별 균형발전 유도   |  242
< 표 Ⅵ-43> 고교평준화 정책의 문제점 보완   |  244
< 표 Ⅵ-44> 학부모의 납입금 부담 증가   |  244
< 표 Ⅵ-45> 사교육 흡수   |  246
< 표 Ⅵ-46> 튼튼한 재정을 바탕으로 운영   |  247
< 표 Ⅵ-47> 도입에 가장 큰 저해요인  |  248
< 표 Ⅵ-48> 운영시 예상되는 문제점 여부   |  251
< 표 Ⅵ-49>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   |  253
< 표 Ⅵ-50> 공영형 자율학교에 자녀 취학 의향  |  255
< 표 Ⅵ-51> 공영형 자율학교 운영에 참여 의향   |  256
< 표 Ⅵ-52> 공영형 자율학교 근무 의향   |  257
< 표 Ⅵ-53> 공영형 자율학교 관련 업무 담당 의향   |  258
< 표 Ⅶ-1> 면담질문의 영역 별 하위변인   |  266
< 표 Ⅶ-2> 공영형 자율학교에 대한 인식 프레임   |  337
< 표 Ⅷ-1> 설립주체별 특징 비교   |  384
< 표 Ⅷ-2> 공영형 혁신학교 통치유형별 특징  |  391
< 표 Ⅷ-3> 학교경영 구조의 자율성과 책무성 영역과 내용  |  394
< 표 Ⅷ-4> 공무원형과 비공무원형 비교  |  400
< 표 Ⅸ-1> 학교형태별 비교   |  418
< 표 Ⅸ-2> 협약 지침 개요   |  419
< 표 Ⅸ-3> 공영형 혁신학교 협약 절차   |  421
< 표 Ⅸ-4> 학교위원회의 주요 역할 및 기능   |  435
< 표 Ⅸ-5> 운영주체별 통치기구 비교  |  438
< 표 Ⅸ-6> 학교운영 주체별 인사관리 비교  |  441
< 표 Ⅸ-7>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이수단위 선택 예시  |  449
< 표 Ⅹ-1> 공영형 혁신학교 협약 절차  |  463
그림차례
[그림 Ⅰ-1] 연구 절차  |  9
[그림 Ⅰ-2] 교육통치구조 개념모형  |  16
[그림 Ⅳ-1] 학교운영위원회 관련 법규  |  71
[그림 Ⅳ-2] GM school 변화과정 및 경로의존성의 영향 변수   |  118
[그림 V-1] Academy의 통치구조 모형  |  132
[그림 Ⅵ-1] 설립 주체   |  156
[그림 Ⅵ-2] 설립 방식   |  175
[그림 Ⅵ-3] 운영 주체   |  195
[그림 Ⅵ-4] 도입 학교급   |  195
[그림 Ⅵ-5] 정책 및 규정의 규제 완화 정도   |  196
[그림 Ⅵ-6] 학교운영위원회 참여인사   |  198
[그림 Ⅵ-7]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성  |  199
[그림 Ⅵ-8] 교과서 선택의 자율성  |  202
[그림 Ⅵ-9] 교장자격증 소지 여부  |  203
[그림 Ⅵ-10] 교장 임용 방법   |  204
[그림 Ⅵ-11] 교사자격증 소지 여부   |  205
[그림 Ⅵ-12] 교사 채용 방법   |  206
[그림 Ⅵ-13] 교사 인센티브 부여 방법   |  207
[그림 Ⅵ-14] 학생 선발 범위   |  208
[그림 Ⅵ-15] 학생 선발 방법   |  209
[그림 Ⅵ-16] 재정 지원 정도   |  211
[그림 Ⅵ-17] 학생 납입금 수준   |  211
[그림 Ⅵ-18] 학교 시설 수준  |  213
[그림 Ⅵ-19] 학급당 학생수   |  214
[그림 Ⅵ-20] 책무성 평가 방식  |  215
[그림 Ⅵ-21] 책무성 평가 내용   |  216
[그림 Ⅵ-22] 재정 운영의 책무성 평가 방법   |  218
[그림 Ⅵ-23] 공영형 자율학교 도입 필요성   |  219
[그림 Ⅵ-24] 명확한 교육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운영  |  220
[그림 Ⅵ-25] 학교헌장에 따른 교육   |  221
[그림 Ⅵ-26] 우수한 시설을 갖춘 교육환경   |  223
[그림 Ⅵ-27]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 강화   |  224
[그림 Ⅵ-28] 일반계 고등학교 유형 다양화   |  225
[그림 Ⅵ-29]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확대   |  226
[그림 Ⅵ-30] 교육프로그램 구성시 학부모 요구 반영  |  228
[그림 Ⅵ-31]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 확대   |  229
[그림 Ⅵ-32] 학교의 학생 선발 전형 방법의 자율성 확보  |  230
[그림 Ⅵ-33] 학부모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1
[그림 Ⅵ-34] 학생의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  232
[그림 Ⅵ-35] 교사들의 교육활동 만족도 제고   |  234
[그림 Ⅵ-36] 교사들의 신분보장 위협   |  234
[그림 Ⅵ-37] 초임 교사의 적합성  |  236
[그림 Ⅵ-38] 경력 교사의 적합성   |  237
[그림 Ⅵ-39] 학교 운영의 효율성 저하   |  238
[그림 Ⅵ-40] 전문적 기관에 의한 평가   |  239
[그림 Ⅵ-41] 지방교육 발전 및 지역별 균형발전 유도  |  240
[그림 Ⅵ-42] 고교평준화 정책의 문제점 보완   |  242
[그림 Ⅵ-43] 학부모의 납입금 부담 증가  |  242
[그림 Ⅵ-44] 사교육 흡수  |  244
[그림 Ⅵ-45] 튼튼한 재정을 바탕으로 운영   |  245
[그림 Ⅵ-46] 도입에 가장 큰 저해요인   |  246
[그림 Ⅵ-47] 운영시 예상되는 문제점 여부   |  247
[그림 Ⅵ-48]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   |  249
[그림 Ⅵ-49] 공영형 자율학교에 자녀 취학 의향  |  252
[그림 Ⅵ-50] 공영형 자율학교 운영에 참여 의향  |  254
[그림 Ⅵ-51] 공영형 자율학교 근무 의향   |  255
[그림 Ⅵ-52] 공영형 자율학교 관련 업무 담당 의향   |  256
[그림 Ⅸ-1] 공영형 혁신학교 협약 절차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