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홈 알림마당 보도자료/칼럼 보도자료/칼럼

보도자료/칼럼

[보도] 공공데이터 연계를 통한 교육정책연구의 확장 

  • 게시자 : 관리자 
  • 자료분류 : 공지사항
  • 등록일 : 2023-12-14 
  • 조회 : 4326 

공공데이터 연계를 통한 교육 정책연구의 확장

지역-학교 데이터 연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중학교의 특성 


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직무대행 임후남)공공데이터 연계를 통한 교육 정책연구의 확장이라는 주제로 브리프 <KEDI Brief 26>를 발표하였다.

□ 「데이터기반행정법을 위시한 데이터 관련 법·제도적 기반의 확대에 따라, 공공부문의 행정 및 정책 과정에서 데이터 연계 분석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학교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는 교육 정책연구에서 학교를 둘러싼 사회적·지역적 맥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공데이터와 학교 데이터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브리프는 공공데이터(지역 요인), KEDI에서 2022년 수행한 국가수준의 교육현안 진단 및 공교육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 구축()연구의 시범조사 데이터, 학교 공시 데이터(이상 학교 요인)를 연계하여 중학교를 대상으로 학교가 소재한 지역 요인과 학교 요인을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교육 성과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인구, 주거 영역 중심의 지역수준 군집분석 결과 3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지역수준 군집분석 결과는 기존 교육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역 규모(특별·광역시, 중소도시, ··특수지역)에 비해 보다 상세하고 다면적인 지역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수준 군집분석 결과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학교수준 군집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중학교가 교육 여건, 학교 문화 및 풍토, 수업 및 학습활동 영역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구분됨을 보여준다.

셋째, 두 군집분석 결과를 교차하여 살펴본 결과 유사한 여건의 지역에 소재하더라도 학교 요인의 차이에 따라 교육 성과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지역 여건이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전국 중학교 대비 학교 문화 및 풍토, 수업 및 학습활동 영역의 인식 수준이 양호한 경우,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 만족도가 높고, 학업 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데이터 연계 분석 결과는 높은 학교효과를 보이는 학교들에 대한 세부적인 탐색과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현재 다양한 공공 분야에서 데이터의 양적, 질적 고도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공데이터, 조사데이터, 학교데이터 간 연계 분석을 통해 교육 정책연구의 현장성, 확장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