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21)」 결과 발표
□ 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 류방란)은 2021년 기본연구과제로 수행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21)」(연구책임자: 임소현) 연구결과를 분석·발표하였다.
□ 1999년 1차 연구를 시작으로 2021년 16차 연구가 추진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21)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교육 및 교육정책 전반과 최근의 교육현안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인지 정도 및 의견을 조사하여 교육정책의 수립·개선 및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합리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KEDI POLL 2021에서는 보다 시의성 있는 문항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검토하였고, 현 정부에서 실시하는 마지막 교육여론조사라는 점에서 향후 지속되기를 바라거나 더욱 강조되었으면 하는 정책들이 무엇인지를 포함하여 조사내용을 구성하였다.
□ KEDI POLL 2021의 신규 문항으로 현 정부 교육정책 중 가장 성과가 많은 정책, 현재 교육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정책이슈,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및 기대, 고교학점제 전면 실시를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 교원의 교육활동 침해행위의 이유 및 교육활동 보호 강화를 위한 과제, 가장 적절한 원격교육 수업 방식과 효과적인 원격교육을 위한 우선적 지원 내용, 지방교육자치 성과에 대한 의견, 자녀의 교육수준에 대한 기대 등을 포함하였다.
□ 문항별 내용을 검토하여 전체와 비교집단을 구분하고, 교차분석과 분산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및 평균점수 등을 산출하여 결과 값을 비교 제시하였고, 지난 조사에 포함되었던 고정문항의 경우 표집오차를 고려하여 각 조사별 빈도, 백분율 및 평균점수의 변동 추이를 표와 그래프를 활용하여 비교 제시하였다.
□ 문항별로 응답자 배경변인별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를 부록으로 제시하였으며, 주요한 시사를 줄 수 있는 결과는 연구보고서 요약에 도표(인포그래픽)로 제시하였다.
□ 교육 및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및 태도, 교육정책 현안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 정도 및 의견 분석 등을 통해 얻어진 시사점을 바탕으로 교육정책을 보다 발전적으로 수립 및 그 추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추진 과제를 제안하였다.